상호 보완적인 트랜지스터 쌍 MPSA06과 MPSA56은 오디오 증폭기 입력 회로에 이상적입니다. 80V의 컬렉터-이미터 전압(VCE) 정격, 500mA의 전류 용량, 그리고 100의 DC 전류 이득(hFE)을 갖추고 있어서, 이들은 다양한 스위칭 또는 드라이버 용도에 적합합니다. 그림 1의 온세미(페어차일드) MPSA06처럼 SOT-23 패키지와 보다 성능이 뛰어난 SOT-223 패키지 같은 파생품들을 고려한다면, MPSA06 제품군은 젤리빈 반도체 클럽의 확실한 일원입니다.
그림 1: 온세미(페어차일드) MPSA06 트랜지스터와 파생품에 대한 규격서.
MPSA06과 MPSA56의 역사
많은 젤리빈 부품들이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에 등장했습니다. MPSA06과 MPSA56의 정확한 출시 연도는 여전히 확인할 수 없지만, 1983년 발매된 모토로라의 소신호 트랜지스터 핸드북(Small-Signal Transistor Data Handbook)에 아무 설명 없이 무심히 실려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들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던 부품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품 번호의 MPS 접두사를 “Motorola(모토로라), Plastic(플라스틱), Small-signal Transistor(소신호 트랜지스터)"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모토로라는 표준 JEDEC 부품을 리브랜딩 하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2N3904를 모토로라 MPS3904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A"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장치 패키지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1W TO-202 패키지로 된 MPSU06(NPN) / MPSU56(PNP) 쌍과 길이가 긴 1W TO-92(TO-226AE) 패키지로 된 MPSW06(NPN) / MPSW56(PNP) 쌍과 같은 여러 관련 부품들이 있습니다.
기술 팁: MPSU06이나 MPSW06과 같은 부품은 이제 대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디지키에서 구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활용해 장비를 수리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와 스위칭 같은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서 VCE, 전류 이득, 전력 소모 등 주요 매개변수를 맞추거나 초과하는 대체 부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트랜지스터의 핀 배열이 E-B-C는 아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PCB에 제대로 장착하려면 납땜할 때 창의력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디지키에서 MPSA06 트랜지스터 찾기
디지키 검색 도구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부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MPSA06이나 MPSA56을 직접 검색하면 몇 가지 부품을 빠르게 찾을 수는 있지만, 이는 젤리빈 부품을 찾는 방법은 아닙니다. 대신, "A06 BJT"나 "A56 BJT"와 같이 기본 부품 번호와 트랜지스터 유형을 키워드로 사용해 검색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부품 번호에 자주 붙는 접두사나 접미사에 관계없이 모든 디지키 부품을 찾아줄 것입니다.
"A06 BJT"라는 키워드 검색은 검색 범위가 넓기 때문에 간혹 엉뚱한 부품을 찾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원래의 TO-92 패키지 부품 및 그림 2의 온세미 PZTA06과 같은 표면 실장형 파생품까지 잘 찾아줍니다.
그림 2: SOT-223-4 패키지로 된 MPSA06 계열 부품의 이미지.
글을 맺으며
디지키에서 검색해 보면, MPSA06 / MPSA56의 파생품들이 백만 종 이상 재고로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록 2N3904 제품군만큼 대중적이지는 않지만, MPSA06 제품군은 40년 이상 꾸준히 신뢰해온 부품이며 앞으로도 수십 년은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레일 전압이 높아지기 시작하면, MPSA06 제품군을 한 번쯤 검토해 보십시오. 저전력 오디오나 기타 앰프가 딱 알맞는 응용 분야입니다.
감사합니다,
APDahlen
관련 정보
다음 링크를 통해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자 소개
미합중국 해안경비대(USCG) 소령(LCDR)으로 전역한 Aaron Dahlen은 디지키에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27년간의 군 복무 동안 기술자 및 엔지니어로서 쌓아온 그 만의 전자 및 자동화에 대한 지식은 12년간의 교단을 통해 (상호 연계되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미네소타 주립대학, Mankato에서 전기공학 석사(MSEE) 학위를 받은 Dahlen은 ABET(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미국 공학 기술 인증 위원회) 공인 전기공학 과정을 가르치고, EET(Electrical Engineering Technology, 전기공학 기술) 과정의 프로그램 조정관으로 일했으며, 군 전자 기술자에게 부품 수준의 수리에 대해 가르쳤습니다. 미네소타 주 북부의 집으로 돌아와 이런 류의 연구와 글쓰기를 즐기고 있습니다.
영문 원본: Meet the Jellybeans: The MPSA06 and MPSA56 Transistors